증권사들은 삼성전자의 올해 영업이익이 37조원대에 이를 것으로, 내년에는 5년 만에 50조원대로 회복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지난해 적자에서 벗어난 SK하이닉스는 내년 역대 두 번째로 높은 19조원대 영업이익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FnGuide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올해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3개월 추정치 평균)는 전년 대비 464% 증가한 37조576억원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발표된 올해 1분기 잠정실적에서도 영업이익이 6조6000억원으로, 15년 만에 최저치였던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6조5700억원)을 넘어섰습니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영업손실(-7조7303억원)에서 벗어나 올해 13조6743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할 전망입니다. 올해 1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1조9800억원입니다. 증권사들이 내놓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향후 영업이익 전망치는 '장밋빛'입니다. 삼성전자의 내년 예상 영업이익은 52조5221억원입니다. '메모리 호황기'였던 2021년 영업이익(51조6339억원) 이후 5년 만에 50조원대로 회복하는 것입니다. 내후년에는 2018년 사상 최대 실적(58조8900억원)을 웃도는 60조4664억원까지 치솟을 전망입니다.
SK하이닉스의 내년 예상 영업이익은 19조4163억원으로 예상됩니다. 이 경우 2018년 사상 최대 실적(20조8438억원) 이후 두 번째로 높은 수준입니다. 내후년에는 사상 최대치인 21조8437억원에 이를 전망입니다.
삼성전자의 실적 개선은 주력인 메모리 반도체 사업부의 수익성 회복이 이끌 것으로 보입니다. 증권가는 삼성전자의 1분기 D램과 낸드 출하량이 전 분기 대비 각각 15%, 3% 감소했지만 평균판매단가(ASP)는 D램 16%, 낸드 30% 이상 증가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수요 부진으로 감산에 나서면서 D램 재고가 정상화되고 있고, 하반기에는 낸드 가격경쟁력도 높아질 전망입니다.
생성형 인공지능(AI) 열풍으로 HBM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가운데 삼성전자도 올해 3분기부터 차세대 HBM인 HBM3와 HBM3E의 매출 비중을 늘릴 것으로 기대됩니다. 지난해 4분기 HBM 매출 비중은 9%에 그쳤지만 올해 4분기에는 18%로 두 배 늘어나며 D램 ASP 상승이 기대됩니다. 미래에셋증권 김영건 연구원은 "(삼성전자가) 올해 하반기 경쟁사와의 HBM3E 격차가 해소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HBM 선도기업인 SK하이닉스는 올해 2분기부터 본격적으로 HBM 매출이 늘어날 전망입니다. HBM3와 HMB3E를 가장 먼저 양산하기 시작했고, 엔비디아도 추가 물량을 지속 요청하고 있어서입니다. 또 그동안 실적 발목을 잡았던 낸드 사업부도 더 빨리 흑자 전환할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한편, 삼성전자는 2009년 처음 세계 1위에 오른 이후 15년 연속 글로벌 상업용 디스플레이 시장 1위를 차지했습니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023년 글로벌 상업용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판매량 기준 33%의 점유율로 연간 200만대 이상을 판매하며 사상 최대 판매량을 기록했습니다.
마이크로 LED 기술을 활용한 세계 최초 모듈형 디스플레이 '더 월(The Wall)', 초슬림 두께와 균일한 베젤 디자인으로 뛰어난 몰입감을 제공하는 '스마트 사이니지', 스포츠와 랜드마크 시장 맞춤형 전기차 충전소용 '니지', 교육시장에 최적화된 전자칠판 '삼성 플립 프로' 등 소비자의 다양한 니즈에 부합하는 차별화된 상업용 디스플레이와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설치 편의성을 높인 '더 월 올인원'과 '버추얼 프로덕션용 더 월' 등 '더 월' 라인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두바이 아틀란티스 더 로얄, 싱가포르 마리나베이 샌즈 등 초호화 호텔과 카지노 리조트에 '더 월'이 공급되고 있다는 내용까지 추가되었습니다.
삼성전자는 초대형 LED 디스플레이 '더 월'의 라인업을 지속 확대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설치 편의성을 높인 '더 월 올인원'과 버추얼 프로덕션 제작에 최적화된 '버추얼 프로덕션용 더 월'을 선보였습니다. 특히 두바이 아틀란티스 더 로얄, 싱가포르 마리나베이 샌즈 등 초호화 호텔의 최고급 스위트룸에 '더 월'이 공급되며 호텔 업계에서 압도적인 영향력을 과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난 1월에는 세계 최초 투명 마이크로 LED를 소개하며 상업용 디스플레이 혁신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투명 마이크로 LED는 북미 디스플레이 전문 매체 rAVe로부터 '최고의 LED', '최고의 투명 디스플레이' 등 3개 부문 어워드를 휩쓸며 혁신성을 인정받았습니다.
사이니지 콘텐츠를 쉽게 운영 및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 '삼성 VXT(Samsung Visual eXperience Transformation)'를 출시해 하드웨어뿐 아니라 솔루션 사업까지 확장하며 사이니지 경쟁력을 대폭 강화했습니다.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정훈 부사장은 "15년 연속 상업용 디스플레이 시장 세계 1위는 누구보다 시장 변화와 고객 목소리에 민첩하게 대응한 결과"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비즈니스 환경에 맞는 특화된 기기를 제공하고, 통합 솔루션과 서비스로 B2B 고객에게 최상의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시장조사업체 트랙라인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023년 미국 가전 시장에서 21%의 점유율을 기록했습니다. 이어 LG전자가 19%, GE가 18%, 월풀이 15%를 차지했습니다. 물량 점유율 기준으로는 삼성전자가 19%로 1위였습니다. 이어 GE 17%, LG전자와 월풀이 각각 16%였습니다. 또 소비자가 가전 제품 구매 시 고려하는 브랜드로는 삼성전자가 32%로 가장 높았습니다. LG전자는 29%, GE와 월풀은 각각 28%였습니다.
삼성전자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연결성과 사용성을 높인 신제품과 서비스를 잇달아 내놓으며 미국 가전 시장 점유율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미국에 도입될 2024년형 신제품 비스포크는 고성능 AI 칩과 카메라, 센서 등을 탑재해 한층 다양한 AI 기능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3일부터는 미국 뉴욕 타임스스퀘어에서 '비스포크 AI 패밀리허브' 냉장고의 'AI 비전 인사이드' 기능을 알리는 야외 광고도 진행 중입니다.
이상으로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 실적 전망과 상업용 디스플레이 및 미국 가전 시장 선도 현황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반도체 업황 회복으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실적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보이며, 특히 HBM 수요 폭증으로 삼성전자의 D램 ASP 상승이 기대됩니다.
또한 마이크로 LED와 AI 기술로 무장한 차별화된 제품과 솔루션으로 상업용 디스플레이와 미국 가전 시장에서 리더십을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삼성전자가 어떤 혁신 제품과 서비스로 고객 가치를 높여갈지 주목됩니다.